분자, 에너지, 물리, 물리학 이론20 냉난방기의 원리 이해하기 냉난방기의 원리 이해하기 여기 물컵이 하나 있는데요. 이 물의 온도를 높이고 싶으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스푼으로 휘저으면은 물 분자의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온도가 오르겠죠. 물론 커피를 마실 만큼 온도를 높이려면 여러분의 팔이 떨어져 나갈 지경이 될 겁니다. 고체의 경우는 두 물체를 문지르면 분자들이 진동이 커지니까 또 온도가 오릅니다. 이런 고체 분자들이 있다고 했을 때, 이렇게 문지르면 고체 분자들이 진동이 커지겠죠. 그래서 우리가 추울 때 양손을 비비는 것이 바로 그런 이유고요. 또 어떤 물체를 태우면 산소와 결합하면서 그때 열이 나오고 그 열로 이런 물을 데울 수도 있습니다. 석유난로가 사용하는 방법이죠. 전기난로에서는 전류를 가지고 열을 일으키는데요. 이렇게 니크롬선 같은 전선의 원자 사이에 전.. 2022. 7. 23. 촛불과 관련한 물리 공부 촛불과 관련한 물리 공부 우리가 늘 보고 있는 불에 대해서 한번 깊이 생각해 보고 공부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인간은 아주 오래전 불을 사용하게 되면서부터 생활에 큰 변화가 나타났을 것이라고 추측합니다. 도대체 그들은 어떻게 불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을까요? 어쩌면 번개가 치면서 자연적으로 생겨난 이 불이 인간이 경험한 최초의 불일 수도 있겠습니다. 여러분이 그 원시인류, 불이라는 것을 처음 본 사람이라고 생각해 보십시오. 과연 어떤 느낌이 들까요? 이글거리며 움직이는 무서운 괴물처럼 보여 가지고 도망을 가실 수도 있겠죠. 아니면 태양신이 내려보낸 전령이라고 생각했을 수도 있겠습니다. 어쨌든 이렇게 불은 굉장히 독특하고 신비스러운 존재입니다. 들판에 활활 타고 있는 불은 위험하니까 대신 여기 초 한 자루에.. 2022. 7. 23. 기압의 변화가 끼치는 영향 기압의 변화가 끼치는 영향 과거의 한 친구는 풍선을 넣어 두고 풍선이 얼마나 팽창했는지 보면 되겠다고 했습니다. 참 좋은 방법인데 한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그 풍선은 탄력을 갖고 있어서 바깥 기압이 절반이 된다고 해서 풍선의 부피가 그대로 두 배로 커지지 않습니다. 그러면 탄력이 없는 풍선을 쓰면 된다고요. 예를 들어서 공기가 조금 들어 있는 이런 비닐봉지를 쓰면 탄력이 없기 때문에 봉지의 부피가 그대로 기압의 변화만큼 비례해서 드러날 것입니다. 그런데 이것의 문제는 부피가 얼마나 늘어났는지 측정하기가 곤란하다는 거죠. 그래서 우리에게는 비닐봉지처럼 부피가 쉽게 변하지만 그 부피 변화를 쉽게 측정할 수 있는 그런 도구가 필요합니다. 그런 물건 중 하나가 바로 주사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작은 주사기를 .. 2022. 7. 22. 공기의 존재감과 압력을 변화시키는 요소와 현상 공기의 존재감과 압력을 변화시키는 요소와 현상 앞부분을 막아 놓은 상태에서 먼저 피스톤을 뒤쪽으로 빼는 경우를 생각해 보죠. 이 경우에는 우리가 이겨 내야 될 힘이 바로 뒤쪽에서 밀어주는 공기 분자들입니다. 그런데 피스톤이 여기 있든지, 뒤쪽으로 왔든지 공기 분자가 뒤에서 때리는 힘은 달라지지 않겠죠. 그래서 우리가 이걸 빼는 동안 필요한 힘은 이 상태에서나, 이 상태에서나 계속 일정한 힘을 요구합니다. 즉, 피스톤의 위치에 상관없이 필요한 힘이 하나의 값으로 정해진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당길 때가 되겠습니다. 그럼 이제는 미는 경우를 생각해 볼 텐데요. 처음에 이만큼의 공기가 있었고 이 상태에서는 앞쪽에서, 안쪽에서 때려주는 양과 바깥에서 때려주는 힘의 크기가 똑같습니다. 그러니까 처음에 이걸 넣.. 2022. 7. 22.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