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3 촛불과 관련한 물리 공부 촛불과 관련한 물리 공부 우리가 늘 보고 있는 불에 대해서 한번 깊이 생각해 보고 공부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인간은 아주 오래전 불을 사용하게 되면서부터 생활에 큰 변화가 나타났을 것이라고 추측합니다. 도대체 그들은 어떻게 불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을까요? 어쩌면 번개가 치면서 자연적으로 생겨난 이 불이 인간이 경험한 최초의 불일 수도 있겠습니다. 여러분이 그 원시인류, 불이라는 것을 처음 본 사람이라고 생각해 보십시오. 과연 어떤 느낌이 들까요? 이글거리며 움직이는 무서운 괴물처럼 보여 가지고 도망을 가실 수도 있겠죠. 아니면 태양신이 내려보낸 전령이라고 생각했을 수도 있겠습니다. 어쨌든 이렇게 불은 굉장히 독특하고 신비스러운 존재입니다. 들판에 활활 타고 있는 불은 위험하니까 대신 여기 초 한 자루에.. 2022. 7. 23. 분자운동 관점에서 온도의 개념 분자운동 관점에서 온도의 개념 여기 두 개의 컵이 있는데 한쪽에는 차가운 물이, 한쪽에는 뜨거운 물이 담겨 있습니다. 일단 뜨거운 물에선 김이 올라오고 손을 대보면 그 느낌이 서로 확실히 다릅니다. 그런데 이 차가운 물과 뜨거운 물은 근본적으로 무엇이 다르다고 할 수가 있을까요? 물을 이루고 있는 성분이 다를까요? 뜨거운 물을 가만히 두기만 해도 나중에 찬 물이 되는 걸 보면은 성분이 다를 것 같지 않은데요. 만약 여러분이 "두 물의 온도가 다릅니다. " 라고 대답한다면 저는 다시 이렇게 묻겠습니다. "온도라는 것이 무엇입니까?" 우리가 사실 앞에서 이미 배운 것처럼 뜨거운 물이나 차가운 물 모두 이렇게 H2O라는 분자들의 모임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둘의 차이는 사실 분자들의 운동 상태의 차이입니다. 분.. 2021. 11. 12. 불의 본질과 다양한 현상 불의 본질과 다양한 현상 과거 수업 시간에 여러 학생들이 촛불을 보면서 던졌던 질문들 그리고 여러분이 직접 던졌을 수도 있는 질문 가운데 6가지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왜 불 주위는 따뜻할까? 왜 불 주위는 따뜻할까? 왜 빛이 날까? 어떤 물질이 불에 잘 탈까? 왜 불꽃은 뾰족한 모양을 가질까? 중력이 없는 곳에서는 촛불이 어떻게 탈까? 그리고 마지막으로 왜 심지는 타지 않고 남아있을까? 이제 이런 질문에 대해서 하나씩 생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질문입니다. 불 속에서 탄소와 산소가 만나고 수소와 산소가 만난다고 했는데 이 과정에서 서로가 당기는 힘 인력이 있다고 했습니다. 그 인력 때문에 이 둘이 가까워지면 가까워질수록 속도가 빨라지는 경향이 생깁니다. 즉, 여기서 만들어지는 이산화탄소와 물분자.. 2021. 11. 1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