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물리4

엔트로피의 개념과 현상 엔트로피의 개념과 현상 원래 물리학에서 시작된 용어인데 지금은 사회적 현상을 말할 때도 자주 언급되는 단어고요. 엔트로피를 잘 이해하시면 세상을 이해하시는 또 하나의 안목을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대부분 사람들은 "아 이거 비디오 찍어가지고 국그릇 올린 거잖아요. "라고 말하실 것입니다. 맞습니다. 그런데 여러분 이게 실제로 일어날 수 없는 일이라는 것을 어떻게 아셨습니까? 물론 한 번도 저런 일을 본 경험이 없으니까 그렇게 말하셨겠지만 뭐 우리가 경험이 모든 것에 기준이 될 수는 없지 않습니까? 예를 들어서 여러분이 자전거를 뒤로 탈 줄 모른다고 해서 자전거 뒤로 타는 사람 보았을 때 '이거 거꾸로 돌린 거야'라고 무턱대고 말하진 않지 않습니까? 여러분이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 일인지 절대 일.. 2022. 7. 25.
냉난방기의 원리 이해하기 냉난방기의 원리 이해하기 여기 물컵이 하나 있는데요. 이 물의 온도를 높이고 싶으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스푼으로 휘저으면은 물 분자의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온도가 오르겠죠. 물론 커피를 마실 만큼 온도를 높이려면 여러분의 팔이 떨어져 나갈 지경이 될 겁니다. 고체의 경우는 두 물체를 문지르면 분자들이 진동이 커지니까 또 온도가 오릅니다. 이런 고체 분자들이 있다고 했을 때, 이렇게 문지르면 고체 분자들이 진동이 커지겠죠. 그래서 우리가 추울 때 양손을 비비는 것이 바로 그런 이유고요. 또 어떤 물체를 태우면 산소와 결합하면서 그때 열이 나오고 그 열로 이런 물을 데울 수도 있습니다. 석유난로가 사용하는 방법이죠. 전기난로에서는 전류를 가지고 열을 일으키는데요. 이렇게 니크롬선 같은 전선의 원자 사이에 전.. 2022. 7. 23.
촛불과 관련한 물리 공부 촛불과 관련한 물리 공부 우리가 늘 보고 있는 불에 대해서 한번 깊이 생각해 보고 공부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인간은 아주 오래전 불을 사용하게 되면서부터 생활에 큰 변화가 나타났을 것이라고 추측합니다. 도대체 그들은 어떻게 불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을까요? 어쩌면 번개가 치면서 자연적으로 생겨난 이 불이 인간이 경험한 최초의 불일 수도 있겠습니다. 여러분이 그 원시인류, 불이라는 것을 처음 본 사람이라고 생각해 보십시오. 과연 어떤 느낌이 들까요? 이글거리며 움직이는 무서운 괴물처럼 보여 가지고 도망을 가실 수도 있겠죠. 아니면 태양신이 내려보낸 전령이라고 생각했을 수도 있겠습니다. 어쨌든 이렇게 불은 굉장히 독특하고 신비스러운 존재입니다. 들판에 활활 타고 있는 불은 위험하니까 대신 여기 초 한 자루에.. 2022. 7. 23.
불의 본질과 다양한 현상 불의 본질과 다양한 현상 과거 수업 시간에 여러 학생들이 촛불을 보면서 던졌던 질문들 그리고 여러분이 직접 던졌을 수도 있는 질문 가운데 6가지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왜 불 주위는 따뜻할까? 왜 불 주위는 따뜻할까? 왜 빛이 날까? 어떤 물질이 불에 잘 탈까? 왜 불꽃은 뾰족한 모양을 가질까? 중력이 없는 곳에서는 촛불이 어떻게 탈까? 그리고 마지막으로 왜 심지는 타지 않고 남아있을까? 이제 이런 질문에 대해서 하나씩 생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질문입니다. 불 속에서 탄소와 산소가 만나고 수소와 산소가 만난다고 했는데 이 과정에서 서로가 당기는 힘 인력이 있다고 했습니다. 그 인력 때문에 이 둘이 가까워지면 가까워질수록 속도가 빨라지는 경향이 생깁니다. 즉, 여기서 만들어지는 이산화탄소와 물분자.. 2021.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