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2 얼음이 물보다 부피가 큰 이유와 이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 얼음이 물보다 부피가 큰 이유와 이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 얼음을 물에 넣으면 물에 뜹니다. 자주 봐서 당연하게 보이지만 사실 굉장히 이상한 현상입니다. 얼음은 물이 고체가 된 것인데 대부분의 물체는 고체가 되면서 부피가 줄어들고 밀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고체가 액체 안에서 가라앉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왜 물에선 이렇게 반대 현상이 일어날까요? 물에서는 분자들의 운동이 활발해서 서로 계속 자리를 바꾸면서 복잡하게 뒤엉켜 있습니다. 온도가 점점 낮아지면 분자들이 차분해지고 자기 자리를 찾아가는데 모든 수소가 이웃에 있는 산소와 수소결합을 하려다 보니까 자연스럽게 육각형 구조를 갖게 됩니다. 육각형 구조를 이루는 이유는 물 분자의 두 수소 사이의 각도가 104. 5 도고 이것이 120도에 가깝기 때문이죠. 이렇.. 2022. 7. 24. 물의 기본 특성 물의 기본 특성 물은 우리가 매일 보는 것이기도 하고 우리 공부에서도 처음부터 등장했습니다. 언제 물이 등장했었는지 생각나십니까? 촛불에서 만들어지는 것이 물과 이산화탄소라고 했습니다. 여기 촛불이 있는데 정말 물이 만들어지는지 한번 확인해 볼까요? 이 촛불에서 만들어지는 것은 뜨거운 수증기인데, 이 수증기가 차가운 비커를 만나면 식으면서 액체로 변합니다. 뿌연 것들이 보이시죠? 네. 물맛입니다. 물 맞는 것 같습니다. 물을 구하기 힘든 곳에서도 바싹 마른 낙엽을 모아서 태우고 그 수증기를 잘 식히기만 하면 거기서 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물은 축축한 데서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뭔가를 태워서 수소와 산소를 결합시킬 수 있으면 거기서 물이 나옵니다. 이렇게 초를 계속 태우고 있으면 방안에 습.. 2022. 7. 23. 이전 1 다음